카테고리 없음

청약통장에 그래서 얼마 넣어야 돼요? 10월부터 달라진 청약 가이드

money-cat-nyang 2024. 9. 25. 06:01

 

 

안녕하세요! 😸

오늘은 2024년 10월부터 달라지는 주택청약 제도에 대해 소개할게요.

특히 월 납입 인정 한도가 기존 10만원에서 25만원으로 상향되면서,

많은 분들이 고민하고 있는

"내가 25만원을 꼭 넣어야 하나?"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합니다.

청약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주목해 주세요! 📢


청약 제도, 이렇게 바뀝니다!

1. 월 납입 인정 한도 25만원으로 상향

그동안 청약 통장에 아무리 많이 넣어도 월 10만원까지만 인정되었는데요,

2024년 10월부터는

25만원까지 인정됩니다.

이는 집값 상승에 맞춘 조치로,

청약통장에 더 많은 돈을 넣어서 총 납입 금액을 높이는 것이 더 중요해졌어요.


2. 하나의 통장으로 모든 청약 가능

기존에는 청약부금, 청약예금, 청약저축 등 여러 유형의 통장이 있었고,

통장에 따라 청약할 수 있는 주택이 달랐어요.

하지만 이번 개편으로

주택청약종합저축 통장 하나만 있으면

모든 주택에 청약할 수 있게 바뀌었습니다.

특히, 기존 통장 가입자도 전환을 통해 납입 실적이 인정되니, 청약 기회가 넓어졌죠!

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도 같은 통장이니까

가입 조건이 되신다면

꼭 전환하거나 신규가입하세요!

(다음 포스팅 참고)


3. 소득공제 혜택 확대

청약 통장을 통해 받을 수 있는 소득공제 혜택이

연 240만원에서 연 300만원으로 늘어났습니다.

연봉 7,000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라면

청약 납입액의 40%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어,

연 120만원까지 세금을 절감할 수 있어요.


청약 통장에 따라서

신청가능한 주택이 다르다?

: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의 차이점

1. 국민주택 (공공분양)

  • 국가나 공공기관(LH, SH)이 건설하는 주택
  • 저렴한 분양가가 장점이지만, 경쟁률이 매우 높음
  • 전용면적 85㎡ 이하로 제한 (수도권 기준)
  • 저축 총액과 납입 횟수가 많을수록 유리

2. 민영주택 (민간분양)

  • 민간 건설사(GS, 현대 등)가 건설하는 주택
  • 분양가가 국민주택보다 비싸지만 경쟁률이 낮음
  • 가점제추첨제로 당첨자 선정 (추첨제는 특히 2030 세대에게 유리)
  • 가입 기간과 예치금이 중요

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의

청약 1순위 조건 비교

 
국민주택
민영주택
필수 가입 기간
투기과열지구: 24개월 이상
수도권: 12개월 이상
수도권 외: 6개월 이상
투기과열지구: 24개월 이상
수도권: 12개월 이상
수도권 외: 6개월 이상
납입 횟수
수도권: 12회 이상
수도권 외: 6회 이상
X
예치금
X
지역별로 차이 있음
해당자
무주택 세대주만 가능
유주택자도 가능

국민주택

  • 전용면적 40㎡ 이하: 납입 횟수가 많은 순으로 당첨자를 선정
  • 전용면적 40㎡ 초과: 저축 총액이 많은 순으로 당첨자를 선정

따라서 저축 총액이 중요하고,

월 25만원을 넣는 것이 경쟁에서 유리해요.


민영주택

  • 가점제추첨제로 당첨자를 선정
  • 가점제는 무주택 기간, 부양가족 수, 청약 가입 기간 등이 중요하고, 나이가 많을수록 유리해요.

추첨제는 예치금만 충족하면 되기 때문에,

가입 기간이 짧은 2030 세대에게 유리한 방식입니다.


나는 얼마를 넣어야 할까? 💸

납입 인정 금액이 상향되었다고 해서

모두가 그만큼 넣어야 하는 건 아니에요.

사람마다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, 자신에게 맞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.

1. 납입 여유가 있는 분

  •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모두 노릴 수 있습니다.
  • 특히 국민주택저축 총액이 중요하기 때문에, 매달 25만원을 납입하는 것이 유리해요.
  • 당첨 확률을 높이고 싶다면 25만원을 꽉 채워서 넣는 것이 좋겠죠.

2. 부담스러운 분

  • 민영주택을 노려보세요.
  • 민영주택의 경우 납입 금액보다는 예치금이 중요하기 때문에, 10만원만 납입해도 민영주택 청약에는 충분히 도전할 수 있어요.
  • 국민주택보다는 경쟁률이 낮은 민영주택에서 승부를 보는 것도 전략 중 하나입니다.

3줄 요약

  • 월 25만원 납입 여유가 있다면 모두 가능!
  • 월 10만원만 납입해도 민영주택 추첨제에 도전할 수 있음.
  • 국민주택은 저축 총액이 중요, 민영주택은 예치금이 핵심.

2024년 10월부터 변화하는 청약 제도에 맞춰 자신에게 맞는 전략을 세우고,

내 집 마련의 꿈을 이뤄보자구요! 🏠


돈냥이의 재테크 꿀정보 받아가시라냥~ 💰

#청약납입25만원 #청약통장전략 #2024청약개편 #청약통장 #국민주택청약 #민영주택청약 #청약얼마나 #내집마련 #2030청약 #청약금액 #청약기간 #청약1순위 #국민주택민영주택차이 #청약금액변경